GMP(Good Manufacturing Practice)
1. GMP 란?
1969년 WHO(세계보건기구)에서 GMP(Good Manufacturing Practice) - 우수의약품
제조. 품질 관리기준 제도들의 실시를 권장하고 유럽 등 선진국에서 자국의 현실에 적합한 GMP를 제정.실시하고, 의약품의 국제무역에 있어서도 GMP 실시 증명제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에서도 선진제약산업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KGMP제도를 도입.제정하여 1984년부터 실시하고 있으며, 화장품에 대해서는 1990년 4월 우수화장품 제조.품질관리 기준 (CGMP)을 제정(보건사회부 예규 575호)하고 92년
7월에 장업계 실정에 맞도록 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.
GMP라 함은 품질이 보증된 우수 의약품 및 화장품의 제조.품질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제조소의 구조.설비 및 조직과 원료의 구입부터 원료의 소분.제조.포장.보관.출하에 이르기까지 제조 전공정에 걸쳐 제조와 품질관리에 관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규정을 말한다.
2. GMP 의 정의
GMP(Good
Manufacturing Practice)란 품질이 보증된 우수의약품을 제조 관리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제조소의 구조설비를
비롯하여 원료의 구입으로부터 제조, 포장, 출하에 이르기까지의 전공정에 걸쳐 제조와
품질의 관리에 관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규정 을 말한다.
* 한국 : 우수의약품
제조 및 품질관리기준(KGMP)
* 미국 : Current
Good Manufacturing Practice(CGMP)
* 원료의약품
GMP guidline : ICH guidline Q7A
3. GMP 의 개요
3.1의약품의 조건
의약품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다음의 3가지 기본성질을 갖추어야
한다.
1) 유효성(Efficacy) : 각 의약품은 설명서에서 설명하는 약효가 있어야 한다.
2)
안정성(Stability) : 안정한 물질 이어야 한다.
3)
안전성(Safety) : 인체에 무해해야 한다.
-순수성(Purity) : 다른 이(異) 물질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.(impurity)
-3
무(無) : 미생물, Pyrogen, 불용성 이물
-동일성(Identity) : 의약품에 라벨 및 표시가 있어야 하며, 그 표시는 실제의 물건과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.
4.
필요성
1)인간의 생명과 직결 되는 제품!!.
2)약사법에 의하여 제조, 유통, 취급, 공정관리 등 품질에 대한
규제가 규정되어 있음.
3)여러 단계의 복잡한 단계를 거쳐서 제조되는 의약품을 최종 완제품에서
한정된 검체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험만으로는 품질보증이 이루어지지 못함.
4)제품의 품질을 사전에 보장할 수 있는 별도의 기준의 제정이
필요하게 됨.
5)원자재의 입고에서부터 완제품의 출하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정단계의 제조관리가 표준화된 작업관리 하에서 점검, 확인, 기록 문서화된 과학적 타당성이 입증된 제조 및 품질관리를 실현하도록 조직적이며 체계화된 관리를 하게함로써 제품의 품질보증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.
5. GMP 의 역사
- 1969년
: WHO GMP 제정 ; 의약품의 국제거래에 있어서 GMP 규정을 근거로 한 증명제도를
실시하도록 권고.
- 1977년
: 보건사회부 KGMP 제정 실시
- 1998년
: 보건복지부 BGMP 제정 실시
- 2000년
: 6월 16일 KGMP,BGMP 통합/개정
- 2004년
7월 : 원료의약품 신고제도 실시(DMF : Drug Master File)
6.
GMP의 3대 요소
1)
인위적인 과오의 최소화
2)
의약품의 오염으로 인한 품질변화 방지(cross contamination, 미생물 오염, 이물오염)
3)
고도의 품질보증체계 확립
<KGMP의 3요소와 flow chart>
7.
청정도(공조 System)
7.1 Class 의미
– 무균 작업실의 f t3
당 0.5㎛ 이상의 Particle 수.
– 숫자가 작을수록 청정도가 높음을 나타낸다.
– 의약품이 직접 작업실내 공기와 접촉하는 지역은 Class 100 이다.
– 청정도가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져야 한다.
7.2 청정도를 관리하기
위한 Test
1) 부유입자시험 : 공기중에
부유하고 있는 Particle 수 측정(particle counter)
2) 부유균 시험 :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미생물의 수 측정
3) 낙하균 시험 : 일정시간 동안 청정실내에 낙하하는 미생물의 수 측정
4) 표면균 시험 : 청정실내 장비 또는 작업자의 작업복 및 장갑에 부착되어 있는 미생물의 수 측정
4.3 무균작업실내 복장
무균복(상하연결형,무균모 포함), 무균화, 무균장갑, 마스크, 보안경
8. 제조용수
8.1 상수(City Water)
인간이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물(수도물)로 반응기
또는 Vessel류의 초기 세척수, 정제수의 제조에 사용한다.
8.2 Deionize Water(D/I water)
상수를 이온교환수지(Mixed-Bed Deionizer)로 정제하고 자외선 처리한 물로 유기 합성용 반응용수 및
PFW의 제조에 사용한다.
8.3 R/O Water
상수를 역삼투압(Reverse
Osmosis Memberane)으로 정제하고 자외선 처리한 물을 0.45㎛
Filter로 여과한 물로 준비실의 무균제품 제조용 반응기, Vessel류의 초기 세척, 무균제품 포장용기의 초기 세척수 및 무균작업장 청소에 사용한다.
8.4 Pyrogen Free Water(Water For Injection)
D/I Water 를 증류수
제조장치로 증류한 물로 무균공정의 반응수, 무균검체 채취용 Vial및 무균제품
포장용기의 최종 세척수로 사용한다.
9.
GMP 용어 정의
–분리 : 별개의 건물이거나 동일 건물일 경우에는
벽에 의하여 별개의 장소로 구별되어서 작업원의 출입구역이나 공기조화장치가 별도로 되어 있는 상태.
–구획 : 벽, 칸막이, Air curtain 등에
의하여 나누어져 교차오염이나 혼입이 방지될 수 있는 상태.
–구분 : 선이나 간격을 두어서 혼동이 되지 않도록
구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상태.
–제조단위 : “로트(Lot) 또는 뺏지(Batch)”동일한
제조공정하에서 균질성을 갖도록 제조된 원료의약품의 일정한 분량을 말한다.(교차오염이나 혼입방지 목적)
–제조번호 : “로트번호 또는 뺏지번호”일정한 제조단위분에
제조관리 및 출하에 관한 모든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된 숫자, 문자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.
–원료 : 원료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물질을
말하며, 완제품에 남아있지 아니하는 물질도 이에 포함된다.
–반제품(중간체) : 원료의약품의 제조공정중에 만들어진
것으로서 필요한 제조공정을 더 거쳐야 완제품으로 되는 것을 말한다.(raw material)
–완제품 : 모든 제조공정을 끝내고 약효를 가진
원료의약품을 말한다.
* 원료의약품 : API(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), BPC(Bulk
Pharmaceutical Chemicals)
- SOP(Standard Operating Procedure)
: 표준작업지침서, GMP 문서의 가장 핵심 문서
–Validation : 특정 공정, 방법 또는 시스템이 기설정된 허용기준을
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일관성있게 만족하는 결과를 보증하도록 제공되는 고도의 문서화된 프로그램
10. CGMP에 관하여
회사 실정에 맞는 우수 제약품 및 화장품의 제조.품질관리에 관한 규정(기준)을
제정하고 실천함으로써 품질이 보증되는 우수 제품을 제조.공급하여 소비자보호 및
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함에 있다.
11. CGMP의 필요성과 기대효과
1) 필요성
▶ 의약품
의약품은 질병의 진단, 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생명과 건강에
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의약품의 3대 특성인 유효성(Efficacy), 안전성
(Safety),안정성(Stability)이 확보되어야 한다. 또 과학기술의 진보, 생활
수준의 향상과 개방화 시대를 맞아 치열한 경쟁 등으로 해서 품질이 보증되는
화장품의 공급이 더욱 요청되고 있다.
▶ 화장품
화장품은 인체를 청결하게 미화하고 피부를 건강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되며
인체에 대한 작용은 경미하나 화장품의 특성인 신뢰성(Trusty), 안전성
(Safety), 안정성(Stability)이 확보되어야 한다. 또 과학기술의 진보, 생활
수준의 향상과 개방화 시대를 맞아 치열한 경쟁 등으로 해서 품질이 보증되는
화장품의 공급이 더욱 요청되고 있다.
2) 기대효과
●품질에 대한 보증을 확보함으로써 화장품에 대한 신뢰성의 고양
●어떤 검체.제품도 해당 제조단위 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제조단위 균질성 유지
●품질보증, 원가절감, 생산성 향상 등으로 최대 경영이익 추구
●정확한 제조.품질관리 능력과 기술축척 능력의 제공 및 발전(Know-how 축적)
●기업의 이미지 제고
●경영의 효율화로 경쟁력 강화
●임직원의 품질의식 향상
●선진기업으로서의 축적된 기술 활용